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연어처리
- 데이콘 소설
- 캐치카페
- Real or Not? NLP with Disaster Tweets
- 우분투
- 데이콘
- selenium
- leetcode
- ubuntu
- 캐글
- Kaggle
- hackerrank
- 백준
- PYTHON
- dacon
- windows
- 인공지능 공모전
- Git
- 파이썬
- 캐치
- catch
- Keras
- programmers
- Compas
- SW Expert Academy
- 금융문자분석경진대회
- Baekjoon
- 프로그래머스
- NLP 대회
- AI 경진대회
- Today
- 1,010
- Total
- 441,434
목록유용한 정보 (74)
솜씨좋은장씨

서버에서 5000포트를 열어두고 Flask로 API 개발을 하면서 로그를 확인하던 중 193.169.252.54 - - [19/Jan/2021 06:53:15] code 400, message Bad HTTP/0.9 request type ('\x03\x00\x00/*à\x00\x00\x00\x00\x00Cookie:') 193.169.252.54 - - [19/Jan/2021 06:53:15] "/*àCookie: mstshash=Administr" HTTPStatus.BAD_REQUEST - 193.169.252.54 - - [19/Jan/2021 06:53:16] code 400, message Bad HTTP/0.9 request type ('\x03\x00\x00/*à\x00\x00\x00\x0..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 $ ssh -i ~/somjang/server_keys/server_key.pem ubuntu@0.0.0.0 위와 같이 접속을 시도하였으나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The authenticity of host '0.0.0.0 (0.0.0.0)' can't be established. ECDSA key fingerprint is SHA256:sdfkjdlskdjflskdjflksjdflskdjlskfjsdlkf. Are you sure you want to continue connecting (yes/no/[fingerprint])? yes Warning: Permanently added '0.0.0.0' (ECDSA) to the list of known hosts..

UserWarning: Could not import the lzma module. Your installed Python is incomplete. Attempting to use lzma compression will result in a RuntimeError. gunicorn을 사용하던 중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해결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sudo apt-get install liblzma-dev apt-get install 명령어를 통하여 liblzma-dev를 설치해주면 됩니다. 그 다음 python을 한번 다시 컴파일 해주어야 합니다. 먼저 설치할 때 사용했던 파일들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만약 설치할 때 사용했던 파일들이 있는 디렉토리가 없다면 먼저..

우분투에서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api를 gunicorn을 활용하여 띄우려고 할때 gunicorn --bind 0.0.0.0:5000 -w=2 -k=gevent --threads=2 app:app /usr/local/lib/python3.7/importlib/_bootstrap.py:219: RuntimeWarning: greenlet.greenlet size changed, may indicate binary incompatibility. Expected 144 from C header, got 152 from PyObject return f(*args, **kwds) -- 중략 -- File "/home/azureuser/workplace/projects/QA_Extractor/qna-maker/Qn..

Pycharm에서 Start SSH Session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을 하려고하는데 위와 같이 한글에 대한 정보가 모두 깨져서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터미널에 설정되어있는 인코딩 정보가 한글과 맞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Mac OS 의 경우 먼저 상단 바의 PyCharm을 클릭하고 Preferences... 를 클릭하여 환경 설정 창으로 이동합니다. 환경 설정 창에서 좌측 배너의 Tools > SSH Terminal을 선택하면 나오는 창에서 Default encoding을 UTF-8로 바꾸어 준 뒤 OK를 누르면 됩니다. Windows의 경우 먼저 상단 메뉴에서 File > Settings 를 선택합니다. 그 다음 Mac 과 동일하게 Tool..

최근 Github이 master branch에서 main branch로 이름이 바뀌면서 git도 업데이트가 필요했습니다. 먼저 본인의 git 버전이 어떤 버전인지 확인해봅니다. $ git version git version 2.7.4 main branch를 기본 branch로 설정할 수있는 git의 버전은 2.28.0 이상이라고 합니다. 업데이트를 하기위해서 $ sudo apt-get upgrade 위의 명령어로 설치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여 찾아보니 아래의 방법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했습니다. $ sudo add-apt-repository ppa:git-core/ppa -y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git -y 설치 후 다시 git 버전을 확인해보면 $..

이번 NIPA 서버 반납 전 백업을 위해 그동안 서버에서 진행했던 여러 파일들을 압축파일로 만든 후에 다운로드 받아 외장하드에 저장해두기 위해 우분투에서 zip 파일로 압축하는 방법을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먼저 zip 이 설치되어있지 않으면 아래와 같은 메세지를 만나게 됩니다. The program 'zip' is currently not installed. You can install it by typing: sudo apt install zip 이는 메세지에 나온대로 아래의 명령어를 통하여 설치해주면 됩니다. $ sudo apt install zip zip 명령어의 설명은 zip --help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 zip --help Copyright (c) 1990-2008 Info-ZIP -..

인스타 그램 크롤링을 진행하기 위하여 오랜만에 Selenium으로 작성하여 사용하였던 코드를 가져와 크롤링을 시작하려고 하니 --------------------------------------------------------------------------- WebDriverException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in 271 # display.stop() 272 if __name__ == "__main__": --> 273 extract_insta_data() in extract_insta_data() 32 # driver = wd.Chrome("/home/ubuntu/somjang-utils/chromedriver", options=options) 33 --->..

$ bash

2020년은 코로나19로 인하여 일상생활에서 많은 부분들이 바뀌었습니다. 그 중 하나는 음식점, 가게 등을 방문할 때 카카오 또는 네이버를 통해 만든 QR 코드를 통하여 방문했었다는 기록을 남기는 전자출입명부가 있습니다. 잠깐 테이크 아웃을 해야하는 경우에도 이 전자출입명부를 활용해야하기 때문에 매번 카카오톡을 열고 # 메뉴에서 QR 코드를 켜는 것이 귀찮을 때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ios14에서 업데이트 되면서 추가된 뒷면탭 기능을 활용하여 QR코드로 이동하는 과정을 축소하여 좀 더 편리하게 QR 코드를 열어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적어보려 합니다. ios14 먼저 해당 방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용하고 있는 아이폰의 OS를 최신 OS인 ios14로 업데이트를 진행하여야 합니다. 업데이트를 완료 후 ..

ubuntu@server:~/PythonHome/TestTA/api$ git push --set-upstream origin master Username for 'https://github.com': SOMJANG-42MARU Password for 'https://SOMJANG-42MARU@github.com': To https://github.com/SOMJANG-42MARU/MaruKeyword.git ! [rejected] master -> master (non-fast-forward) error: failed to push some refs to 'https://github.com/SOMJANG-42MARU/MaruKeyword.git' hint: Updates were rejected beca..

*** System restart required *** The programs included with the Ubuntu system are free software; the exact distribution terms for each program are described in the individual files in /usr/share/doc/*/copyright. Ubuntu comes with ABSOLUTELY NO WARRANTY, to the extent permitted by applicable law. The programs included with the Ubuntu system are free software; the exact distribution terms for each ..

nipa에서 지원 받은 서버에 카카오에서 딥러닝 기반으로 개발한 Khaiii 형태소 분석기를 설치하려고 하던 중 (PythonHome) ubuntu@nipa2020-0000:~/somjang-utils/khaiii/build$ cmake .. CMake Error at CMakeLists.txt:1 (cmake_minimum_required): CMake 3.10 or higher is required. You are running version 3.5.1 -- Configuring incomplete, errors occurred! 위와 같이 CMake의 버전이 3.5.1 로 설치 시 요구되는 3.1.0 버전 보다 하위 버전이어서 설치 진행이 불가했습니다. $ sudo apt-get install up..

디스크 용량 확인 명령어 GB 단위로 확인 $ df -h MB 단위로 확인 $ df -m KB 단위로 확인 $ df -k 실행중인 프로세스 확인 전체 프로세스 확인 $ ps -ef 메모리 사용순으로 정렬하여 보기 ( 사용량이 많은 순서 ) $ ps -ef --sort -rss 메모리 사용순 상위 10개 $ ps -ef --sort -rss | head -n 11 메모리 사용량 표시하여 확인 $ ps -eo user,pid,ppid,rss,size,vsize,pmem,pcpu,time,cmd --sort -rss | head -n 11 메모리 사용량 표시하여 확인 ( 명령어 제외 ) $ ps -eo user,pid,ppid,rss,size,vsize,pmem,pcpu,time,comm --sort -rss..

csv로 되어있는 파일을 전달 받아 Windows에서 엑셀프로그램으로 해당 파일을 열었을때 위와 같이 파일 내의 내용이 깨져서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원인 원인은 전달 받은 파일이 utf-8 또는 다른 형식으로 인코딩이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해결방법 해결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전달받거나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바로 열지말고 엑셀 프로그램을 먼저 실행합니다. 메뉴에서 데이터 > 텍스트/CSV 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열리는 창에서 열어보려고 하는 csv파일을 선택합니다. 파일 원본 항목에서 65001: 유니코드(UTF-8)을 선택하고 로드를 클릭하면 위와 같이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로드되어 보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위처럼 데이터 > 텍스트/CSV 메뉴가 없는 경우에는 데이터 > 새..

AWS의 리눅스 서버에서 selenium을 사용하기 위하여 google-chrome-stable을 설치하려고 하니 현재 설치하려고하는 서버에서는 apt 패키지가 아닌 yum 패키지를 사용하여 이전에 우분투에서 설치했던 방법을 적용하려고하니 적용을 할 수 없었습니다. yum 패키지를 활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repo 파일을 하나 생성합니다. $ sudo vi /etc/yum.repos.d/google-chrome/repo 이 때 sudo 권한을 부여하지 않으면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 할 수 도 있으니 "/etc/yum.repos.d/google-chrome.repo" E212: 쓸 파일을 열 수 없습니다 꼭 sudo를 앞에 붙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생성하였으면 그 안..

Mac에서 Selenium을 활용하여 열심히 크롤링 코드를 작성하여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한 후 호기롭게 Ubuntu 서버에 그대로 파일을 옮긴 뒤 selenium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고 Linux용 chromedriver를 다운받아 넣은 뒤! 실행을 해보니!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찾아보았고 여러 페이지에서 참조한 결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그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hrome 설치 $ wget -q -O - https://dl-ssl.google.com/linux/linux_signing_key.pub | sudo apt-key add - $ sudo sh -c 'echo "deb [arch=amd64] http://dl.google.c..

MAC OS가 업데이트 됨에 따라 기본 쉘도 bash에서 zsh로 변경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저를 포함한 아직 bash를 사용하는 분들은 터미널을 실행하게되면 Last login: Thu Jul 16 10:55:40 on ttys000 위의 메세지가 나온 다음에 잠시 딜레이 되었다가 The default interactive shell is now zsh. To update your account to use zsh, please run `chsh -s /bin/zsh`. For more details, please visit https://support.apple.com/kb/HT208050. 위의 메시지가 로딩된 후에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됩니다. 딜레이 되는 시간이 뭔가 아깝고 신경쓰일때! ..

yarn 패키지를 설치한 이후 부터 터미널을 시작할 때마다 Last login: Thu Jul 16 10:36:16 on ttys000 error Command "gobal" not found. 항상 Last login ~~ 메세지 아래 error Command "gobal" not found. 라는 에러메세지가 출력되면서 터미널이 바로 시작하지 않고 잠시 지연되었다가 실행되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열심히 에러메세지를 검색해봤지만 별다른 소득을 얻지 못하고 있던 그때! [macOS] 터미널에서 command not found가 계속 뜰 때… 맥 터미널에서 특정 패키지를 설치하고나서 PATH가 설정된 뒤, 어떠한 명령어를 쳐도 command not found가 뜰 때가 있다. medium.com 위의 블로그..

Ubuntu(Linux)에서 코딩을 하다보면 자주 vi 편집기를 활용하게 됩니다. 그러다가 보면 몇번째 라인에서 에러가 발생했는데 줄번호가 없어서 확인하기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활성화 방법 vi 편집기에서 esc를 누른 후 :set number 를 입력하고 엔터를 입력해주면 됩니다. 해제 방법 해제하는 방법은 동일하게 esc를 누르고 :set nonumber 를 입력한 후 엔터를 입력해주면 됩니다. 항상 설정해두는 방법 먼저 홈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 cd ~ 그 다음 vimrc 파일을 열어 set number 를 입력합니다. $ vi .vimrc set number를 입력한 후 esc를 누르고 :wq를 입력하여 저장합니다. 이제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해보면 별도의 :set number 설정 없이..

우분투(리눅스)에서 특정 파일을 다른 파일로 복사를 하고 싶을 때 cp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 cp [원본파일 위치] [복사하고자 하는 위치] 그런데 가끔 cp: omitting directory 디렉토리명 위와 같은 오류 메세지가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cp 명령어 뒤에 -r 옵션을 붙여주면 오류가 나지 않고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cp -r [원본파일 위치] [복사하고자 하는 위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멀티 캠퍼스에서 정부지원 교육을 수료할 당시에 AWS GPU 서버를 지원받아서 사용하다가 수료 이후 서버 지원이 종료되어 그동안에는 구글에서 제공해주고 있는 Colab 을 열심히 사용하였습니다. 물론 무료에 P100과 같이 제가 돈을 주고 사기에는 너무 값이 비싼 GPU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매우 감사했지만 학습을 시작하고 별도의 조작이 없을 경우 연결이 해제되거나 그동안 학습되었던 내용이 다 사라지는 슬픈 경우들이 존재했습니다. 그러던 중! AI Hub 에서 일반 개인 학습자(예비 창업자 등)도 신청하여 사용할 수 있는 AI 컴퓨팅 수시 사용자 신청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신청을 해보았습니다. 수시 사용자가 신청하여 사용가능한 자원의 스펙 생각보다 신청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이 정말 간단하게..

nipa에서 GPU 서버를 지원받고 KorQuAD 1.0을 시도해보면서 얼마나 GPU를 사용하는지 보기위해서 $ nvidia-smi 명령어를 계속 입력하다가 쉘스크립트를 통해 1초에 1번씩 업데이트를 하도록 할 수 있지 않을까? 하여 찾아보니 원하는 시간 마다 반복하여 명령어를 수행하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while true; do nvidia-smi; sleep 1; clear; done 위의 명령어를 사용하면 1초에 한번 씩 nvidia-smi 명령 실행 후 터미널의 화면을 한번 지웠다 다시 nvidia-smi 명령을 실행합니다. nvidia-smi 이외에 다른 명령어를 n초마다 반복하여 실행을 원한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하면 됩니다. while true; do 실행을 희망하는 명령어; sleep 반복..

우분투 서버 사용 시 비밀번호 변경 방법입니다. $ passwd 위의 명령어를 활용하여 비밀번호 변경 절차를 실시합니다. Changing password for ubuntu. (current) UNIX password: New password: Retype new password: passwd: password updated successfully 현재의 비밀번호를 한번 입력한 뒤 새로 변경할 비밀번호를 두번 입력 (새 비밀번호 입력/확인을 위한 재입력) 해주면 변경 완료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어제 WWDC에서 macOS Big Sur가 공개되고 Beta버전을 사용해볼 수 있게 됨에 따라 항상 Beta버전 OS 부터 사용해보던 저는 평소와 같이 Profile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를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무난하게 설치가 진행되는 것 같던 중 위와 같은 화면에서 4시간 가량 더이상 진행되지 않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이에 재부팅을 하면서 Command + R을 눌러 복구모드로 진입하였고 복구모드에서 업데이트 로그를 확인해보니 Macbook-Pro configd[40] : DHCP en6 INIT transmit failed 위와 같은 오류가 계속 발생하고 있었습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디스크 유틸리티 메뉴에서 모든 디스크 검사/복구를 실시합니다. 먼저 상단 바에서 유틸리..

이전에 Git으로 여러사람들과 협업을 할때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모두가 venv 가상환경 파일들과 __pycache__파일들까지 모두 GitHub에 push를 하려고하니 다른 사람의 __pycache__ 와 push를 하려는 사람의 __pycache__파일에 몇가지 충돌 요소가 있어 충돌을 매번 해결하고 merge하느라 고생이 많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오늘은 push를 굳이 하지 않아도 되면서 충돌요소가 있는 __pycache__ 같은 파일을 제외하고 push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gitignore 설정 방법에 대해서 적어보고자 합니다. 1. vi 편집기를 이용하는 방법 $ vi .gitignore 먼저 위의 명령어를 통해 gitignore파일을 생성합니다. (생성이 되어있다면 편집화면으로 이동합니다..

리눅스 환경이나 MAC OS 환경에서 터미널을 사용하면서 ls, clear 명령어를 사용하다가 윈도우의 명령 프롬프트로 와서 습관처럼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려하면 위와 같이 'ls'은(는)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배치 파일이 아닙니다. 이런 알림을 보게 됩니다. 리눅스나 MAC OS에서 사용했던 명령어를 윈도우에서도 간단한 명령어로 사용할 수 있게 바꿀 수 있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doskey 사용을 희망하는 명령어 = 기존 명령어 이렇게 doskey 다음에 사용을 희망하는 명령어 (여기서는 ls, clear) 를 적고 = 을 입력하고 = 뒤에 기존에 명령프롬프트에서 사용하던 명령어 (여기서는 dir, cls)를 적어주면 ls 로 dir 과 같은 기능을, clea..

1. yum 업데이트 $ sudo yum update 먼저 위의 명령어를 활용하여 yum 패키지를 업데이트 시켜줍니다. 2. git 설치 $ sudo yum install git -y 위의 명령어를 통해 git을 설치합니다. 여기서 git 뒤에 -y가 붙는 이유는 중간에 설치를 계속 진행하겠는지 물어보는 것에 y / n 으로 입력하여 대답해야하는데 미리 -y를 입력함으로써 그 과정을 자동으로 넘어가게 하기 위함입니다. 3. 잘 설치 되었는지 확인하기 $ git version git version 2.23.1 git version 명령어를 통해 잘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해봅니다. git version ~~ 하며 설치된 버전이 제대로 나온다면 설치완료!

Git Bash를 사용하다가 보면 다른 계정으로 변경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저는 회사 컴퓨터에 개인 Github계정을 설정해 두었었는데 생각해보니 개인 계정을 사용하지 않고 계속 회사 계정으로 사용할 것 같아 Git Bash의 계정을 바꾸기로 하였습니다. 다음은 Git Bash에서 터미널 계정을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1. 현재 설정된 계정 정보 확인 $ git config user.name $ git config user.email 먼저 git Bash를 열고 위의 명령어 두 줄을 입력하면 아래의 사진처럼 현재의 계정 이름 / 이메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명령어를 통해 계정 바꾸기 $ git config --global user.name 변경을 희망하는 계정 $ git config --glob..

Git Flow에 대해서 실습을 해보던 중 GitHub에 새로 만든 비어있는 repository를 컴퓨터로 git clone 명령어를 통해 clone해와서 branch를 생성하려고 하니 다음과 같은 오류를 얻었습니다. $ git branch develop fatal: Not a valid object name: 'master'. 원인 아직 commit을 한번도 하지 않은 repository이기 때문입니다. 해결방법 최소 1번이상 commit을 진행하면 됩니다. $ git commit -m "initial commit" commit을 진행하고 다시 branch를 만들어보면 아래와 같이 잘 생성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