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leetcode
- 백준
- PYTHON
- Kaggle
- 금융문자분석경진대회
- 코로나19
- 캐치카페
- AI 경진대회
- 맥북
- 데이콘
- github
- 우분투
- hackerrank
- SW Expert Academy
- 편스토랑
- Real or Not? NLP with Disaster Tweets
- Git
- ChatGPT
- 파이썬
- Baekjoon
-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 Docker
- ubuntu
- gs25
- 편스토랑 우승상품
- programmers
- 더현대서울 맛집
- 프로그래머스
- dacon
- 자연어처리
- Today
- Total
목록
반응형
엘라스틱서치 (2)
솜씨좋은장씨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JKPYN/btq4Xgw9bzM/BfAn7F00LklVaquY7xwyP0/img.png)
Python과 elasticsearch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es_client를 생성하고 elasticsearch에 검색식을 통해 결과를 받는 코드를 작성하였는데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urllib3/connectionpool.py", line 706, in urlopen chunked=chunked,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urllib3/connectionpool.py", line 382, in _make_request self._validate_conn(conn) File "/usr/local/lib/python3.6/dis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kqTF/btqVswQ6lmH/aCDc2MqeJp6QOHiP8fVK3K/img.png)
ES를 활용하여 개발을 하다보면 Kibana가 설치되어있을때는 인덱스 조회, 검색 테스트 등을 UI를 통해 쉽게 진행할 수 있으나 Kibana가 설치되어있지 않거나 사용이 제한될 경우에는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통해 조작을 해야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통하여 인덱스를 다루는 방법들에 대해서 적어보려합니다. 설치된 곳은 localhost, 포트는 9200번이라고 가정하였습니다. 서버 IP와 포트가 다른 경우 [ localhost:9200 ] 부분을 변경하시어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대부분의 명령어에서 curl을 활용하므로 curl이 설치되어있지 않은 경우 설치 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인덱스 목록 조회 $ curl -XGET localhost:9200/_cat/indice..